전체 글64 임신성당뇨 임신당뇨병(妊娠糖尿病, gestational diabetes)은 당뇨병이 없던 여성이 임신 중에 혈당 수치가 올라가는 상태를 말한다.[2] 일반적으로 임신당뇨병 자체가 일으키는 증상은 적지만,[2] 임신당뇨병으로 인해 자간전증이나 우울증의 위험, 제왕절개의 필요성 등이 올라간다.[2] 임신당뇨병을 제대로 치료하지 못한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아기는 출생 이후 거구증과 저혈당증, 황달의 위험이 증가한다.[2] 치료하지 않은 경우 당뇨병으로 인해 아기가 사산될 수도 있다.[2] 장기적으로는 아이가 과체중이 되거나, 제2형 당뇨병이 발병할 위험도 커진다.[2]인슐린 저항성이나 인슐린 생산 감소로 인해 임신당뇨병이 발병할 수 있다.[2] 발병 위험 인자에는 과체중, 임신당뇨병의 과거력, 제2형 당뇨병의 가족력, 다.. 2025. 6. 12. 대한민국 대한민국(한국 한자: 大韓民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군사 분계선 남부에 위치한 나라이다. 약칭으로 한국(한국 한자: 韓國)과 남한(한국 한자: 南韓, 문화어: 남조선)으로 부르며 현정체제는 대한민국 제6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국기는 대한민국 국기법에 따라 태극기[6]이며, 국가는 관습상 애국가, 국화는 관습상 무궁화이다. 공용어는 한국어와 한국 수어이다. 수도는 서울특별시이다. 인구는 2024년 2월 기준으로 5,130만명[7]이고, 이 중 절반이 넘는(50.74%) 2,603만명이 수도권에 거주한다.[8]대한민국은 1948년 5월 10일 총선거를 통해 제헌국회를 구성하였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였다. 대한민국은 20세기 후반 이후 급격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그 과정에서 1.. 2025. 6. 11. 부마민주항쟁 부마 민주 항쟁(釜馬民主抗爭, 영어: Bu-Ma Democratic Protests)은 1979년 10월 16일부터 10월 20일까지 현재의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마산시 (현 소재지 : 창원시)에서 유신 체제에 대항한 시위가 일어난 것을 말한다. 10월 16일에 부산대학교 학생들이 "유신철폐"의 구호와 함께 시위를 시작했다. 다음날인 17일부터 시민 계층으로 확산된 것을 시작으로 해서, 18일과 19일에는 마산 지역으로 시위가 확산됐다.[1]당시 박정희 유신정권은 10월 18일 오전 12시를 기해 부산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66명을 군사 재판에 회부했으며, 10월 20일 오전 12시 정오 마산 및 창원 일원에 위수령을 선포하고 군을 출동시킨 후 폭력시위에 참가한 간첩 및 민간인 59명을 군사재판에 회부했.. 2025. 6. 11. 바이러스 바이러스(Virus)는 살아있는 세포를 통해서만 생명활동을 하는 '존재'이다. 평상시에는 돌덩어리와 같은 상태로 비활성화된 상태로 있다가 살아있는 세포와 접촉하면 이에 기생하여 생명활동을 시작한다. 다른 세포가 가진 유전정보를 복제할 수 있는 능력은 있지만, 자체적으로 신진대사를 할 수는 없기 때문에 바이러스는 다른 생명체 없이 스스로 생명활동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바이러스를 생명체라고 부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이 때문에 생물 분류 단계에서 세균역, 진핵생물역, 고균역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미분류 상태이다.[4] 현재는 생물과 무생물 사이 존재 정도로 취급되고 있다.[5] 바이러스는 크기가 작고 복제 주기도 짧아 빠른 속도로 변이하는데다 숙주 세포가 있어야만 번식시킬 수 있고, 일부.. 2025. 6. 11. 이전 1 ··· 8 9 10 11 다음